기사 메일전송
[와이파이] 반복된 ‘흉기 난동 범행’에 ‘살인 예고’까지, 시민의 불안감 증폭돼
  • 정서희 기자
  • 등록 2023-09-14 21:22:56
기사수정
  • 국민의 두려움 인지하고 범국가적 대책 마련해야
‘무차별 흉기 난동’에 대해 들어본 적 있는가? 최근 연이어 발생하는 무차별 흉기 난동 사태는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트렸다. 게다가 온라인에 각종 살인 예고 글까지 올라오면서 국민의 두려움도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지는 무차별 흉기 난동 사태를 알아보며 우후죽순 늘어나는 살인 예고 글에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려 한다.


연이은 흉기 난동 사태 발생


 지난달 3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역 일대에서 무차별 흉기 난동 사건으로 인해 14명의 시민이 크게 다치거나 숨졌다. 하지만 위 사건이 발생하기 전, 7월 21일 서울 관악구 신림역 인근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범행으로 인한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실제 지난 7월 말부터 8월 초를 기점으로 무차별 흉기 난동 사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무차별 흉기 난동’은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또한 해당 장소뿐만 아니라 △종로구 대학로 인근 거리 △노원구 상계동 길거리 △서울 지하철 2호선 등 예기치 못한 장소에서도 범행이 일어나 시민들의 피해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연이어 발생하는 흉기 난동 사건에 시민의 불안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칼 들고 나타날 거야’ 너도나도 살인


 예고 무차별 흉기 난동이 잇따라 일어나자 국내 커뮤니티에는 ‘너희가 누구든 나는 칼 들고..’라는 식의 살인 예고 게시물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몇몇 전문가들은 현 사태를 두고 다른 범죄를 본떠서 저지르는 범죄 행위인 모방범죄 확대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해당 사건과 비슷한 형태의 또 다른 가해자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를 심각한 사태로 판단한 경찰청은 지난달 11일을 기준으로 총 315건 중 115건의 119명을 검거했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이런 경찰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특정 장소와 시간 등을 상세히 제시한 글이 끊임없이 작성됐다. 실제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경찰을 살인하겠다는 글이 게시된 후 흉기를 소지하고 있던 남성이 체포된 사례 등이 여럿 나타나면서 살인 예고 글의 위험성이 대두되기도 했다. 덧붙여 배상훈 前 서울경찰청 범죄심리분석관은 해당 사태를 온라인에 떠도는 흉기 난동 범행에 자극받고, 이를 실제로 실천하는 악순환의 구조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불안에 떨고 있는 국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이에 지난달 6일, 경찰청은 전국 수사부장 긴급회의를 개최해 무분별한 흉악범죄 예고 글 게시행위에 대한 강력 대응을 지시했지만 시민의 불안감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이에 한국갤럽1)이 무차별 흉기 난동 피해에 대한 걱정의 정도를 물은 결과 ‘매우 걱정’이 52%, ‘어느 정도 걱정’이 30%를 차지했다. 실제 대학생 A씨는 “평소에는 잘 거닐던 공공장소였지만, 요즘 반복되는 무차별 흉기 난동 사건과 온라인으로 접하게 되는 살인 예고 글에 주위를 경계하며 걷게 된다”고 언급했다. 또한 “늘어나는 살인 예고 글 때문에 흉기 난동 가해자가 검거돼도 밀려오는 불안감을 떨칠 수 없다”고 전했다. 이렇듯 시민 대부분은 무차별 범죄의 두려움뿐만 아니라 최근 살인 예고 글에 의한 공포도 느끼고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위와 같은 묻지마 범죄의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추가로 △법무부는 국민의 불안감을 엄중히 인지하고 ‘가석방을 허용하지 않는 무기형’ 추진 및 ‘사법입원제’ 도입 검토 △경찰청은 가시적 위력순찰 강화와 범죄 예고자 구속수사 △복지부는 정신건강검진 체계 강화, 외래치료 명령제도 개선 등을 언급하며 묻지마 범죄 해결에 집중하겠다고 밝히며 강력 대응을 선포했다.


 전문가들은 무차별 흉기 난동 사태 이후 살인 예고 글이 꾸준하게 올라오는 사회 흐름을 보며 또 다른 흉기 난동의 가능성을 언급했다. 해당 범행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물론 범행 처벌 강화도 중요한 사항이지만, 국민의 두려움을 충분히 인지하고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분석과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서희 기자 Ι seohee0960@kyonggi.ac.kr


1) 지난달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