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더하기] 한국 축구 유망주 육성, 그 해답은 어디에
- 오직 K리그에만 존재하는 U22 규정 국내 프로 축구 리그인 K리그에서는 리그 내 유망주 육성을 위해 22세 이하 선수의 의무 출전 규정(이하 U22 규정)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22세 이하의 선수를 선발 명단과 ...
- 2023-12-07김민제 기자
-
- [소확꿀] 청소하는게 귀찮은 일이라니, 이렇게 간편한걸?
- 청소쯤은 가뿐하지 대학생이 된 후 독립하기 위해 기숙사나 자취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기자 또한 어느덧 1년 차 기숙사생이 됐습니다. 독립을 하게 되면 청소는 직접 도맡아 해야 합니다. 이에 실...
- 2023-12-07이정빈 기자
-
- [이달의 History] 알프레드 노벨, 그의 이름이 세계 최고의 영예로 변모하는 순간
- 폭발적인 열정을 담아, 알프레드 노벨의 생애 1833년 10월 21일, 알프레드 노벨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한 발명가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9년 뒤인 1842년 러시...
- 2023-12-07박상준 수습기자
-
- [책] 언제까지 권력에게 고백할 것인가
- 국가의 유지를 목적으로 공권력에 의해 집행되는 감시와 처벌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제도다. 언제부터인가 이 두 가지가 없다면 사회가 안정적으로 운영되...
- 2023-12-07김태규 기자
-
- [학술] 빛과 색에 대한 새로운 해석, 인상주의
- 순간을 묘사하는 미술, 인상주의 1860년대 파리의 미술가들이 주도하기 시작한 인상주의는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에 반대하면서 시작해 현대미술과 모더니즘...
- 2023-12-07김현비 기자
-
- [영화] 캄캄한 새벽 다음 찾아올 활기찬 아침을 위해
- ‘정신병동’이란 키워드에 어떤 생각이 드는가? 우리 사회는 오래전부터 이 키워드를 극히 부정적인 것으로 여겨왔다. 정신질환자는 나약하다고 손가...
- 2023-12-07김민제 기자
-
- [문화더하기] 전자기기와 헤어질 결심
- 전자기기 의존도, 이젠 넋 놓고 지켜보면 안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 5,031만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10...
- 2023-12-07홍지성 기자
-
- [자취인의 밥상] 도우 대신 식빵 한 장으로 만드는 피자
- 이탈리아를 넘어 미국에서 한국까지, 피자의 역사 배달의 민족이라고도 불릴 만큼 한국의 배달 문화는 유명하다. 이로 인해 피자는 어느새 치킨, 떡볶이와 함...
- 2023-12-07정민 기자
-
- [오늘 기자는] 보드게임으로 인생을 배웁니다
- 요즘 기자는 경기대신문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저는 신문편집국에서 보도팀장이자 사회팀 정기자로 활동 중인 경찰행정학전공 22학번 정서희입니다. 보드...
- 2023-12-07정서희 기자
-
- [우리학교 동아리] 글씨에 생기를 불어넣다, 연서회
- 연서회는 ‘캘리그라피’란 공통된 취미로 모인 본교 중앙동아리로, 1972년 7월 15일 창설돼 올해로 51주년을 맞이한 유서 깊은 동아리다. 많은 사람이 모...
- 2023-12-07임현욱 수습기자
-
- [문화보조] 원형 없는 우리 말, 신조어 사용은 한글 파괴가 아니다
- 유행어·신조어의 언어학적 의미 △도재학 교수 유행어·신조어는 한국어학에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다. 우선 조어법 적인 측면에서 신조어들...
- 2023-12-07박선우 기자
-
- [문화기획] 유행어 독점한 20대, 인터넷 물들었지만 에타에서는 ‘조심’
- 유행어 산실의 현주소, 디시인사이드 유행어와 인터넷 용어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며 유행어는 젊은 세대의 전유물로써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20대의 대부분(95%)이 인터넷 용어를...
- 2023-12-07박선우 기자
-
- [음악] 음악이 줄 수 있는 서사의 모든 것
- 꽉 막힌 명절의 찻길이면, 어린 시절의 기자는 뒷좌석의 작은 모니터로 태어나기도 전에 나온 ‘이웃집 토토로’를 쳐다보다 멀미에 못 이겨서 잠들기...
- 2023-12-07박선우 기자
-
- [문화기획] 쌀과 빵의 조합, 넌 누구니?
- 풍년을 걱정이라 읽는다 한창 수확하고 기뻐해야 할 시기인 쌀 풍년이 찾아와도 농부들은 마음 놓고 기뻐하지 못한 지 오래다. 바로 쌀 가격 때문이다. 쌀 생...
- 2023-11-23박선우 기자
-
- [문화보조] 모두예술극장으로 모두모두 모여라
- 모두를 환영하는 모두예술극장 모두예술극장은 본교 서울캠퍼스 인근 충정로역으로부터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과거 ‘충정로난타전용관’으로 이용되던 폐극장이 모두예술극장으로 재탄...
- 2023-11-23김민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