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뜨거워지는 지구 어떻게 적응해야 할까?
- 기후변화의 영향이 점점 더 양극화 되고 있는 세계에서, 최근 공개된 남극과 그린란드의 빙하 녹는 속도를 다룬 연구는 우리가 이 글로벌 위기에 대처하는 시급성을 상기시키고 있다. 이 연구는 저명한 ...
- 2023-09-15편집국
-
- 오염되는 동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
- 현대 사회는 에너지와 환경의 균형을 유지하는 문제를 절실하게 직면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오염수 해양 방류 문제는 국제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문제 중 하나...
- 2023-09-14편집국
-
- 젊은이여, 약물에서 자유하자
- 우리 사회에서 마약이 만연하고 유명 인사들이 연루된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젊은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청소년의 안녕과 미래를 소중히 여기는 사회의 일원으로서,...
- 2023-09-14편집국
-
- 개인주의와 집단 화합간의 한국인의 사회문화적 관계
- 세계가 점점 더 상호 연결되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해졌다. 특히 한국인은 외국인이 인식하는 한국인의 성격, 성향, 시민의...
- 2023-09-14편집국
-
- 생명 경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말하다
- 생명 경시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본 일이 있는가? 우리들이 생명을 대하는 태도는 과연 어떨까? 요즘 대한민국 뉴스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이슈들이 있는데 바로 아동학대, 동물학대 등이다. 예전에 비하...
- 2023-09-14편집국
-
- AI를 바라보는 우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
- 2022년 11월 openAI사에서 ChatGPT를 공개하면서 인공지능(AI)의 활용시대가 벌써 코앞에 대면하게 되었다. ChatGPT의 등장은 흥분과 우려를 동시에 가져다 주었다. 2023년 4월이 된 지금은 더 빠른 속도로 ChatGPT를 ...
- 2023-04-13편집국
-
- 죽어가는 우리…음식으로 살린다
- 우리는 음식을 매일 먹는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먹어야만 살 수 있기에 그렇다. 그런데 매일 먹는 음식이 뭘 어떻게 했기에 음식이 잘못 했다고 하는 것일까? 아주 쉽게 설명해 보자. 우리가 무언가 같은 ...
- 2023-03-14편집국
-
- 각자도생의 시대, 연대를 모색한다
- 요즘은 어디를 가나 ‘각자도생’이라는 말이 유행이다. 유례없던 펜데믹의 경험과 끔직한 전쟁의 공포, 혹은 세계 경제에 대한 불길한 징후 앞에서 이런 경향은 더 심해지는 것처럼 보인다. 누구도...
- 2022-12-02편집국
-
- 멈추어라! 기후변화
- 2022년 가을, 가을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단풍이 제법 울긋불긋해져 단풍구경으로 우리의 눈도 마음도 즐거운 요즘이지만, 한편으론 ‘기후위기’란 단어가 우리에게 너무 친숙한 존재가 되어버...
- 2022-11-14편집국
-
- 흙수저 금수저 프레임에서 벗어나자!
- 요즘 흔하게 언론이나 주변 사람들이 사용하는 말인 흙수저, 금수저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마음이 씁쓸해진다. 본인은 이 흙수저 금수저 프레임이 사람들에게 현재 상황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벗어날 수 ...
- 2022-10-22편집국
-
- 진부(陳腐)와 참신(斬新)의 역동적 관계
- 진부(陳腐)는 썩은 고기를 자랑하는 것에서 유래된 말이다. 자랑삼던 고기가 좋은 것의 대상이었다가 시일이 경과하여 썩은 것이 되고, 악취를 풍기게 되었다. 자신은 미처 알지 못하고 있었는데, 신선한...
- 2022-09-26편집국
-
- 학자의 생기와 살기
- 코로나-19의 엄혹한 기운이 물러나고 이제 봄기운에서 여름 기운으로 바짝 다가서고 있다. 살기가 넘쳐나던 세상에 이제 생기가 넘쳐나니 즐겁고 고마운 일이다. 이토록 갈구하던 일이 현실로 다가오니 ...
- 2022-05-30편집국
-
- 인류의 미래, 신화에서 길을 찾자^^
- 디지털 플랫폼이 인간의 도구가 되면서 인류는 이제 인류의 보편언어를 가지게 되었다. 저마다 다른 언어를 쓰는 인간이 하나의 단일한 체계에 묶이게 된 셈이다. 이 언어의 위대함은 코로나시대가 되면...
- 2022-05-16편집국
-
- 콘텍스트(context)와 콘텐츠(content)
- 이 시대에 남녀갈등이 부각된다. 적지 않은 갈등이 되리라 예측된다. 하지만 남성과 여성, 여성과 남성은 대등하다. 서로 독자적인 권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기 창조주권을 행사한다. 그렇지만 여성과 남...
- 2022-05-02편집국
-
- 허니문(Honeymoon)과 비터문(Bittermoon)의 운이(運夷) 원리
- 사람과 사람, 남성과 여성이 만나서 서로 가까워지고 혼인을 하는 것이 생멸의 깊은 이치가 된다. 허니문이 비터문이고, 비터문이 허니문이라고 하는 역설을 예거한다. 밀월관계는 영원할 수 있는가, 형...
- 2022-04-11편집국
-
- 빛에 다가갈수록 어둠이 깊어진다
- 대통령이 바뀌었다. 장차 무슨 일이 있을지 갈라진 우리나라의 민심은 과연 어떻게 반응할지 아무 것도 예견되지 않는다. 다만 이 혼란한 정국은 여전히 안개 속이다. 달이 차고 기울 듯이 오직 무상한 천...
- 2022-03-28편집국
-
- 우리를 깨우치는 말과 글
- 슬프다! 세상이 미망에 빠진지 아주 오래되었다. 학문을 한다며 남의 이야기만 한지 너무나 오래되었다. 자신의 말을 하지 않고, 자신의 학문을 하지 않고, 구구절절이 남의 것을 자신의 것으로 착각하고...
- 2022-03-14편집국
-
- 봄을 찾아서, 심춘(尋春)놀이
- 봄이 멀게 느껴지지만 이미 동지부터 새로운 시작이 이루어졌다. 하나의 양이 비롯되었으며(一陽始生), 그 질서는 무너지지 않는다. 무심한 천지는 자신의 운행을 멈추지 않는다. 우주의 무한 반복이 요...
- 2022-03-02편집국
-
- 자연학문과 인문학문의 조화와 갈등
- 자연학문은 자연과학으로 널리 알려져 그 위세가 대단하다. 이에 대한 편견을 버리기 위해서 자연학문으로 용어를 고정하고, 학문의 한 분야임을 분명하게 하고자 한다. 자연학문은 자연의 현상을 관찰...
- 2021-12-06편집국
-
- 사회학문의 문제와 대안 모색
- 사회학문은 인간이 구축한 사회적 현상과 사상(事象)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사회적 현상을 진단하고 예측하면서 새로운 학문을 향한 방법론이 수립이 있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사회적 현상의 예...
- 2021-11-22편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