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이슈] 예견된 전쟁,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서지수 기자
  • 등록 2022-03-14 08:27:14
  • 수정 2022-03-28 09:31:28
기사수정
지난달 24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 침공하며 전쟁이 발발했다. 러시아는 나토의 동진으로 서방세계의 위협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전 세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했고, 국제기구와 글로벌 기업들의 경제적 제재가 이어졌다. 이에 본지는 현 상황에 대해 알아봤다.


우크라이나 ‘친러-반러’갈등의 역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9세기 키이우(키예프) 공국의 일원으로서 동슬라브어계 언어를 쓰고 정교회를 믿는 등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13세기 키이우 공국이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한 순간부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우크라이나의 서부 지방은 반러시아 성향이 강해졌고, 러시아 접경의 동부 지방은 러시아어를 쓰는 친러시아 성향으로 나눠지게 됐다.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련의 붕괴와 동시에 독립했지만,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았고 부정부패 문제가 심각했다. 지난 2013년 11월, 빅토르 야누코비치 前 대통령의 친러 정책에 반대한 우크라이나 국민은 유로마이단 시위를 일으켜 야누코비치를 탄핵하고 친서방 정권을 수립했다. 그러나 친서방 정권은 우크라이나를 제대로 이끌지 못했고, 우크라이나 내 ‘친러-반러’세력의 통합에 실패했다. 그 결과 지난 2014년, 친서방 정권에 반발한 친러 세력으로 인해 크림반도가 러시아에 합병됐으며 돈바스 지역에서 내전이 일어나는 등 우크라이나는 대내외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코미디언 출신 정치인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우크라이나의 제6대 대통령의 자리에 앉았다. 


러시아와 NATO 갈등의 서사


 과거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은 독일 통일 승인을 요청하면서 조지 허버트 워커 부시 미국 대통령에게 나토를 확대하지 않겠다는 구두 약속을 받았다. 하지만 나토는 이를 무시하고 냉전 시대 동구권 국가들(△폴란드 △체코 △헝가리 △발트 3국)을 가입시키면서 러시아를 위협했다. 이에 러시아는 작년 10월, 러시아군 약 13만 명을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에 집결시켜 군사적 압박을 가했다.


 지난 1월 말, 양측간의 긴장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나토가 동유럽 전선에 병력을 증강했고, 미국은 지난달 16일을 침공일로 예측했으며 침공이 일어날 것이라는 발언을 해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졌다. 또한 돈바스 지역에서 교전이 잦아졌고, 러시아군의 병력이 19만 명으로 증가했다. 결국 지난달 22일 새벽,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승인했다.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의 전쟁 경과

 한국 시각으로 지난달 24일 11시 50분경(현지 시간 4시 50분경)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됐다. 동시에 우크라이나 전역에 폭격이 시작돼 우크라이나 전역과 러시아의 국경지대 모두 비행금지령이 내려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곧바로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고, 러시아와 단교를 선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통화를 통해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쟁 발발 다음 날, 세계 각지에서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고 전쟁을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8~60세 남성 인구를 대상으로 국가 총동원령을 승인했고, 우크라이나 군은 신분증 확인만으로 징집할 수 있음을 선언했다. 


 지난달 26일, 국제기구도 행동에 나섰다. 나토 회원국은 긴급 화상 회의를 개최했다. 유럽 평의회는 지난 2014년 크림반도 합병 당시 러시아를 축출한 뒤로 지난 2019년 재가입시켰으나 이번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2년 만에 재축출시켰다. OECD는 러시아 가입 절차를 공식적으로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러시아 침공 규탄 결의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소집됐으나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했고 중국이 기권해 기각됐다.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 시내에서 30km 떨어진 곳에 병력을 배치해 진격했고, 우크라이나군은 전국적으로 강력한 저항을 이어갔다. 


 지난달 27일, 우크라이나를 향한 서방국들의 지원이 이어졌다. 미국은 전날 바이든 대통령이 우크라이나군에게 6억 달러를 긴급 지원하겠다고 한 것에 이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추가로 3억 5,000만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올라프 숄츠 독일 수상은 유럽 국가들이 우크라이나에 독일제 무기를 공급하는 것을 허용했다며 대전자 유탄발사기와 스팅어 지대공미사일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벨기에 정부는 우크라이나로 2,000정의 기관총과 3,800 톤 분량의 연료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슬로바키아 △네덜란드 △체코 등의 나토 회원국들이 잇달아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겠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어 유럽 국가들은 러시아를 국제금융결제망 SWIFT에서 퇴출시키기로 합의했다. 러시아는 서방권 국가들의 제재에 대해 핵무기 협정 탈퇴로 대응할 것이라 경고했다. 


 지난달 28일, 유엔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 회의에서 올레크 아나시모프 대표가 “이번 갈등을 막지 못한 모든 러시아인을 대표해 사과한다”고 전했다. 이는 러시아 정부 당국자가 처음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사과를 표명한 것이다. 또한, 교전 이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대표단이 벨라루스 국경에서 1차 회담을 진행됐다.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러시아 대표단에게 즉각적인 휴전과 러시아군 철수를 요구했으나 결렬됐다. 


3월 초, 러시아와 서방국의 제재


 지난 1일, 푸틴 대통령은 서방국에 대한 특별 경제 조치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유엔 회의 연설에서 러시아 대사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을 정당화했고, 상당수 국가의 대사들은 퇴장 시위로 응수했다. 화상으로 진행된 유럽 의회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투쟁과 유럽의 단결을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나토의 개입 및 지원군을 촉구했고, 서방국이 러시아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3일, 폴란드 접경 벨라루스의 벨라베슈 숲에서 2차 회담이 진행됐다. 올렉시 아레스토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장 고문은 돈바스, 크림반도를 포함한 자국 영토에서 러시아군의 철군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반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돈바스 지역의 친러 반군이 세운 도네츠크공화국과 루한스크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하고 우크라이나의 동맹 비가입을 명문화할 것을 요구했으며 크림반도 문제는 이미 종결됐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2차 회담을 통해 민간인이 대피할 동안 일시 휴전한다는 것에 합의했다. 한편, 유엔 긴급특별총회에서 러시아 철군요구 결의안이 △찬성 141표 △반대 5표 △기권 35표로 통과됐다. 반대한 국가는 △러시아 △벨라루스 △북한 △시리아 △에리트레아다. 


 러시아가 지난달 25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를 점령한 전적이 있고, 유럽 최대의 원자력 발전소인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를 점령하려 한다는 전보가 전해지자 국제원자력기구(IAEA) 이사회는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원전 장악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결의안은 35개국으로 구성된 이사회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에도 26개국의 찬성표를 받아 통과됐다. 한편,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는 미국에 로켓 엔진 공급 및 제공하던 서비스를 모두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러시아는 자국 국영 매체 차별과 허위 정보 유포를 이유로 자국 내에서의 페이스북과 트위터 접속을 차단했다. 


 지난 5일, 러시아 의회가 서방의 경제 제재에 대항하기 위한 반 제재 법안을 통과시켰다. 더불어 우크라이나의 제소에 열린 국제사법재판소(ICJ) ‘집단학살 방지와 처벌에 관한 협약’사건 심리에 출석을 거부했다. 유엔 인권이사회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인권 침해에 대한 조사 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결의안은 47개 이사국 가운데 32개국의 지지로 통과됐다. 유엔난민기구는 지난달 24일 이후 우크라이나를 떠난 난민의 수가 지난 8일 기준 201만 명이며 이 가운데 120만 명이 인접한 폴란드로 떠났다고 밝혔다. 


다국적 기업의 러시아 철수


 국제기구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를 외교적으로 고립시켰다면, 다국적 기업들은 러시아에서 생산을 중단하고 철수하는 등 러시아의 행보에 반대 의사를 표출하며 경제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 2일, 애플은 러시아 내 판매를 전면 중단했다. 삼성전자도 러시아 내 스마트폰 생산을 중지했고, 우크라이나 난민에 대한 인도적 차원에서 600만 달러를 기부하기로 했다. 지난 4일, 마이크로소프트와 어도비가 러시아 내 모든 제품과 서비스 판매를 중단했다. 이어 지난 6일, 비자카드와 마스터카드가 러시아에서 영업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케아 또한 제재에 동참해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모든 지점을 폐쇄했다. △스타벅스 △맥도날드 △코카콜라도 러시아에서 모든 영업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지난 7일에는 넷플릭스가 러시아에 서비스를 전면적으로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IBM이 러시아에서 사업을 철수했다. 수많은 기업이 대러시아 경제제재에 연이어 동참하면서 러시아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서지수 기자 seojisu0120@kgu.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