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와이파이] 취약계층을 더욱 옥죄는 코로나 19
  • 조승화
  • 등록 2020-10-26 08:48:54
기사수정
  • 독거노인‧장애인 소외로 알아본 열악한 현실
본지 1046호(20.05.25 발행) 18~19면 문화기획에서는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인들의 상황을 다뤘다. 그로부터 5개월이 지났음에도 취약계층들은 여전히 방역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에 본지는 독거노인 고독사와 장애인을 중심으로 취약계층이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알아봤다.


쓸쓸하고 고독한 죽음

 

 고독사란 홀로 살다 고독하게 사망하는 것을 뜻하며 주로 독거노인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독거노인들의 고독사는 최근 3년 동안 독거노인의 수가 매년 7만 명 씩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크게 추가했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 19가 창궐함에 따라 급격하게 늘었는데, 통계에 따르면 서울 특별시에서 작년 69명이 고독사로 사망한 데 반해, 올해에는 지난 1~8월에만 118명이 고독사로 사망했고 그중 70% 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이었다. 이에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3월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이 제정됐으나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기에 아직 고독사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조차 마련돼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렇듯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독거노인들의 고독사가 증 가한 이유는 독거노인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현재 주민관계망 서비스가 전화로만 운영되고 대 면 지원사업이 중단된 상태라서 독거노인이 어떤 상황인지 파악하기 힘든 상황이다. 게다가 주민관계망 서비스로 관리 중인 가정에서 확진자가 발생한 적도 있어 독거노인에 대한 지원사업이 상당히 위축됐다. 이렇듯 직접적인 지원이 힘들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시행돼 외부와의 교류가 줄어 코로나 블루와 같은 우울증 등이 독거노인 고독사 증가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상화된 방역 속에 숨겨진 차별

 

 장애인들 역시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코로나 19 발생 초기에는 정부와 지자체의 브리핑이 수어나 자막이 없이 방송돼 청각 장애인들이 큰 불편함을 겪었다. 게다가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으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고 코로나 19 관련 업무 대부분이 전화로만 진행되는 현실은 청각 장애인들에게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다가왔다.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 엘리베이터 버튼 등에 항균 필름이 붙어 이용에 지장을 겪고 있으며, 전자출입명부나 무인 결제 시스템 이용 역시 큰 난관이다. 또한 긴급재난문자와 코로나 19 관련 정보 획득을 위한 홈페이지 이용 시 음성 안내 서비스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이용하기 힘들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게다가 장애인 복지시설이 방역 지침에 따른 생활 통제로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외부인과의 교류 감소로 정서적 불안감과 고립감이 심화돼 장애 상태가 퇴행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직접적인 대면 지원이 어려워져 지원 물품을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거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 타인의 도움을 받지 못해 일상생활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렇듯 장애인들 역시 방역의 사각지대에 내몰렸으며, 독거노인들과 마찬가지로 직접적인 지원이 어려워져 코로나 블루나 경제적 어려움 같은 피해를 입고 있다.

 

사각지대에도 볕이 들어와야 한다

 

 독거노인과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 취약계층들이 방역의 사 각지대로 내몰려 어려움을 겪자 정부와 기업 등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왔다. 정부는 지자체와 함께 비대면 복지사업 개발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복지시설 운영을 단계적으로 재개하는 등 취약계층을 위한 구제책을 마련하고 있다. 기업들 역시 청각 장애인을 위한 투명 마스크를 개발하거 나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취약계층이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

 

 이러한 노력에도 사회 취약계층들의 어려움이 속속들이 드러나고 있다. 코로나 19의 진정이 요원한 상황에서 여전히 많은 사회 취약계층들이 복지와 방역의 사각지대에 내몰린 상황이다. 현재 코로나 19로 적극적인 대면 복지사업이 어려운 상황이기에 오히려 코로나 19를 기회로 삼아 향후 사회 취약 계층을 위한 구제책을 마련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다.

 

조승화 기자│tmdghk0301@kgu.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