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진 後] 모두가 똑같이? 단통법 이대로 괜찮은가
  • 전은지
  • 등록 2019-04-15 13:26:43
기사수정

 


 불법보조금이란 대리점과 판매점에서 주는 지원금 외에 별도로 현금이나 상품 등을 지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최근 5G 서비스가 상용화되기 시작하면서 다시금 불법보조금에 대한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아직도 일부 지하상가에 가면 휴대폰을 구매하러 온 고객에게 “얼마를 알아보고 왔냐”고 물어보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상인들은 불법보조금을 지급하면서까지 고객을 한 명이라도 더 유치하기 위해 애쓴다.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을 보면, 지원금 상한제는 2017년부로 폐지됐지만 ‘지원금을 차별적으로 제공해서는 안 된다’는 조항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기자는 여기서 의문이 생겼다. 과연 불법보조금 지급을 막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일까. 그렇다면 왜 지금까지 많은 기사에서 문제점을 다뤘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나아지지 않은 것인가. 이에 대한 본인의 대답은 “아니요”였다. 미국의 ‘블랙프라이 데이’와 같은 사례를 보면 2년 약정을 조건으로 휴대폰을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반값은 물론이고 1$ 폰 등 파격적인 금액을 내세워 고객들을 유치하고 있다. 이때 휴대폰 요금제나 약정 기간은 우리나라와 다를 바 없다. 결국, 국내 소비자들은 외국 시장에 비해 조건은 비슷하면서도 휴대폰 값을 더 많이 지불하며 구매하는 셈이다. 경쟁 사회에서 정보의 양과 질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혜택은 다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해서 단통법이 시행된 후, 원래 취지대로 모두가 같은 금액에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게 된 것도 아니다. 이제는 오히려 불법보조금을 받고 휴대폰을 구매하는 고객이 늘면서 정당하게 값을 지불한 고객들이 ‘호구’가 돼버린 상황이다.

 

 인터넷으로 물건 하나를 사더라도 각자 지불한 금액은 다를 수 있다. 이를 정가로 규정하는 것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 다른 이들에게 손해를 입히게 되는 셈이다. 보조금을 동일하게 제공 하도록 하는 것 역시 소비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는 길을 막는 것이다. 따라서 건강한 휴대폰 유통시장을 위해서라도 단통법의 ‘지원금을 차별적으로 제공해서는 안된다’는 조항의 수정이나 삭제가 속히 이뤄져야 할 것이다.

 

글·사진 전은지 수습기자│juneoej@kgu.ac.kr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