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화의 그늘에서 성평등으로, 그리고 함께하는 사회로
  • 편집국
  • 등록 2018-04-17 11:30:13
기사수정

 연일 방송과 신문에서는 미투 운동과 관련된 기사가 넘쳐난다.

 

검찰에서 시작된 미투 운동은 사회의 여러 방면에서 일어나고 있다. 문학계와 연예계를 넘어서 가장 성스럽게 여겨지는 종교계에까지 그 파장이 미치고 있다. 최근에는 성추행한 사제를 옹호하다가 교황님께서 사과하는 일까지 있었다. 학교도 예외는 아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우리에게 과거에는 낯선 단어였던 성희롱이란 단어를 익숙하게 만든 것도 학교에서 일어난 사건 때문이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여성과 같은 자리를 만들지 않는다는 의미인 펜스룰이 회자되기도 한다. 펜스는 울타리의 펜스(fence)가 아닌 현 미국의 부통령인 마이크 펜스(Mike Pence)의 이름에서 빌려왔다. 펜스가 연방하원의원 시절에 인터뷰에서 부인 없는 곳에서 다른 여성과 단둘이 식사하지 않는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정치인으로서 자기관리의 차원에서 남들로부터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으려는 행동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펜스룰은 성폭력에 대하여 미연에 방지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성차별로 향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여성들도 활발히 사회진출의 기회가 열려져있는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움직임은 여성의 취업의 기회를 박탈하고 남성과 동등한 업무의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할 우려가 있다.

 

지난 달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어 펜스룰을 가장한 성차별행위에 대한 경고를 하였다. 펜스룰을 가장한 위법 행위로는 채용 면접에서 성차별을 불러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질문을 하거나, 인사 배치 및 승진에 있어서 성차별하거나, 퇴직 및 해고·임금·복리후생에 있어서 성차별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김부총리는 이러한 행위를 하는 사업장에 대하여 엄정 처벌하겠다고 하였다.

 

인류의 역사에서 성차별은 매우 뿌리가 깊다고 할 수 있다. 기독교에서 여성은 남성의 신체의 일부로 그려져 있으며, 로마시대의 여성도 가장이나 남편의 처분에 맡겨져 있는 존재였다. 게르만의 관습도 여성은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하여서는 남편을 따라야하는 존재이며, 가족에 대한 체벌권은 가장의 당연한 권리로 여겼다. 이러한 문화는 동양에서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남성보다 못한 존재로 본 것은 사실이다. 불교에서는 남녀가 모두 성직자가 될 수는 있지만 남자승인 비구보다 여승인 비구니는 후순위의 지위를 부여했으며, 유교문화에서 남존여비의 사고는 가부장적 가장권을 정당화하였다. 이러한 차별은 근현대에서 입법에서도 그대로 나타났으며, 20세기가 넘어서면서 여성운동의 결과로 지위가 향상되기 시작하였으며, 더불어 오늘날 법적인 남녀평등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법적인 양성평등을 통하여 많은 분야에서 평등하다고 하여도 아직도 곳곳에 성차별적인 문화가 남아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미투운동도 지위의 차이에 의한 불평등한 관계에서 일어나는 성적 피해를 바로잡기 위한 사회운동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남녀의 성은 인간의 종족을 유지시키고 문명을 만드는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역사와 문화 속에서 성차별적인 모습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앞으로 우리가 원하는 것은 각자가 자발적인 의사에 의한 선택과 결정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걱정이 되는 부분은 과열 양상 속에서 이루어는 역효과들이라 하겠다. 펜스룰이나 생명에 대한 극단적인 선택을 하거나, 아니면 말고 식의 악용된 폭로전 등은 미투운동이 이루고자 하는 결과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를 통하여 가해자 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자족들의 신상을 폭로하고 있고, 피해자의 개인적인 사항까지 무차별적으로 폭로되면서 2차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잠재적 가해자로서 남성을 바라보고 적대시하거나, 예방을 위하여 여성을 멀리하는 것은 오히려 남녀평등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한 일이다.

 

미투 운동을 통하여 모두 함께 차별 없이 살아가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그리고 그러한 평등한 사회에는 누구를 배척하거나 소외시키기 보다는, 잘못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과하고 용서하고 같이 살아가는 사회가 만들어지길 기대해본다.

TAG
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